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파일:olglcklogo.png파일:OGN_The_Champions_silver_logo.png2012
Spring | Summer
파일:LoL Champions logo1.png파일:LoL Champions logo1_White.jpg2013
Winter | Spring | Summer
2014
Winter | Spring | Summer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파일:LCK Old logo.png파일:LCK 로고 2018 화이트.jpg2015
Spring | Summer
2016
Spring | Summer
2017
Spring | Summer
파일:LCK_Logo_2018.png파일:LCK 2018 로고화이트.jpg2018
Spring | Summer
2019
Spring | Summer
2020
Spring | Summer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2021
Spring | Summer
2022
Spring | Summer
2023
Spring | Summer
2024
Spring | Summer





파일:240781172_1438563579861984_4884716296560484096_n.jpg

파일:2021 LCK 서머.png

파일:2021 LCK Summer.png
2021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ummer
대회 기간2021년 6월 9일 ~ 8월 28일[1]
주최파일:LCK 심볼.svg[[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주관
경기장LCK Arena[2]
스폰서파일:우리은행 CI.svg
파일:틱톡 로고.svg
파일:HP OMEN 로고.svg
파일:맥도날드 로고.svg
파일:KLEVV_logo.png
파일:logitechg blue logo.png파일:Secretlab 로고.svg파일:Secretlab 로고 화이트.svg
파일:CGV 로고.svg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상영관
파일:CGV 로고.svg
온라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네이버 e스포츠 아이콘.ico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프랑스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중국 국기.svg파일:후야 아이콘.png
파일:독일 국기.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중계진캐스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용준, 성승헌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맥스 앤더슨, 브랜든 발데스
해설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강범현, 강승현, 김동준, 이현우
파일:미국 영국 국기.svg울프 슈뢰더, 모리츠 뮈센
분석 데스크
강범현, 이서행, 하광석, 신정현[1]
분석 호스트
윤수빈, 이정현
해외중계 통역
박지선
[1] 1주차 강범현 대행, 3주차 ~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정규시즌1라운드
6월 9일 ~ 7월 9일
2라운드
7월 9일 ~ 8월 15일
플레이오프6강 플레이오프
8월 18일 ~ 8월 19일
4강 플레이오프
8월 21일 ~ 8월 22일
결승전대진
8월 28일
경기장
CJ E&M 일산 스튜디오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
준우승파일:T1 LoL 로고.svg T1
Player of the Split김태우 (NS Gori)
MVP정규시즌
한왕호 (NS Peanut)
파이널
허수 (DK ShowMaker)
All-LCK
1st Team
TOP
김기인 (AF Kiin)
JGL
한왕호 (NS Peanut)
MID
허수 (DK ShowMaker)
BOT
서대길 (NS deokdam)
SPT
류민석 (T1 Keria)
Rookie of
The Year
김동범 (LSB Croco)
Best Coach김정균 (DK kkOma)

1. 개요
2. 참가팀
3. 대회 진행
4. 이모저모
4.1. 변경 사항
4.2. 스프링 대비 로스터 변경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경기 일정 조작 논란
5.2. SNL 방송 사고 및 조작 논란
5.3. All-Pro Team 투표 시스템 논란
5.4. 결승전 하이라이트 영상 논란
5.5. 부실한 결승전 운영 논란
7. 주요 기록
7.1. Player of the Split
7.3. LCK Awards
7.3.1. 정규시즌 MVP
7.3.2. Rookie of The Year
7.3.3. Best Coach
7.4. 펜타킬
8. 총평 및 결산
8.1. 정규시즌
8.2. 플레이오프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21년 6월 9일부터 8월 28일까지 펼쳐진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서머 시즌.


2. 참가팀[편집]


||




3. 대회 진행[편집]



3.1. 정규시즌[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세트 득실득실차연속비고
1파일:DWG KIA 엠블럼.svgDK12629-14+154승우승
2파일:Gen.G 로고.svgGEN12627-19+82승vs. NS 우세
3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NS12627-19+81패vs. GEN 열세
4파일:T1 LoL 로고.svgT111725-19+61패준우승
5파일:Liiv SANDBOX 로고.svgLSB11726-21+52패
6파일:Afreeca_Freecs.pngAF11725-21+43승
7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KT71121-25-41패
8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HLE71117-26-91승
9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BRO51320-28-86패
10파일:DRX 로고(2020~2022).svgDRX2169-34-253패
파란색: PO 2R 진출 | 녹색: PO 1R 진출 | 노란색: PO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정규시즌 경기 일람
1R1주
(6/9~13)
2주
(6/16~20)
3주
(6/23~27)
4주
(6/30~7/4)
5주
(7/7~9)
결산
2R5주
(7/9~11)
6주
(7/15~18)
7주
(7/22~25)
8주
(7/29~8/1)
9주
(8/5~8)
10주
(8/12~15)
결산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




3.2. 플레이오프[편집]


파일:LCK 로고 흰색.svg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플레이오프 대진표
||
1라운드2라운드결승 (8/28)
R1 1경기 (8/18)
R2 1경기 (8/21)
파일:DWG KIA 엠블럼.svg3
NS
3위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3
DK
1위
파일:DWG KIA 엠블럼.svg3
AF
6위
파일:Afreeca_Freecs.png1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0
R1 2경기 (8/19)
R2 2경기 (8/22)
파일:T1 LoL 로고.svg1
T1
4위
파일:T1 LoL 로고.svg3
GEN
2위
파일:Gen.G 로고.svg1
LSB
5위
파일:Liiv SANDBOX 로고.svg0파일:T1 LoL 로고.svg3
1위팀 (DK) 대진표 선택: DK vs NS - GEN vs T1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플레이오프 경기 일람
플레이오프결승전
플레이오프 결산
정규시즌 경기 일람



3.3. 결승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이모저모[편집]



정노철 해설의 하차로 공석이 된 해설 자리는 분석가였던 고릴라가 대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릴라는 분석 데스크와 해설을 병행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본인이 해설로 나서는 날에는 빛돌 - 쿠로 조합이 분석 데스크를 맡으며 해설로 나서지 않는 날은 분석 데스크로 나서는 형태라는 모양. 또한 정노철 해설이 맡고 있던 LCK 위클리 코멘터리의 진행은 LCK CL의 해설진인 고수진 해설이 맡게 되었다. 다만 고릴라의 병환[3]으로 개막전에서는 뉴클리어가 고릴라의 대타로 분석 데스크에 참여했고 1주차에는 이현우 해설이 5일 풀중계, 2, 3주차에는 강승현 해설과 이현우 해설이 4일씩 나오는 걸로 빈자리를 메꿨다. 6월 25일 퇴원함에 따라 4주차부터 합류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였고 7월 3일 T1 vs AF전부터 해설로 참여했다.



사실 무관중 온라인 경기는 어쩔 수 없는 게, 현재 하루 코로나 확진자가 700명을 넘어가는 데다가 e스포츠 종목 중에서 관중 입장을 받은 대회는 발로란트 퍼스트 스트라이크 코리아 정도인데 그마저도 서울특별시의 지침이 내려오자 바로 무관중으로 전환했다. 타 종목과 비교해 보면 카트라이더 리그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라는 이유로 아예 리그를 2개월이나 연기했고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대회 중에서도 관중을 받은 사례는 없다. 다만 부실했던 결승전 진행 퀄리티와 1, 2군 간 로스터 등록 횟수 제한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특히 로스터 등록 횟수 제한은 LEC를 경험했던 모글리도 언론과의 인터뷰 도중에 지적했을 정도.
이후 라이엇 코리아는 콜업/샌드다운 주기를 2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또한 응급 상황으로 인해 선수가 등판하지 못할 경우[5] 긴급 콜업/샌드다운을 사용하여 2군 선수를 바로 선발 라인업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 변경 사항은 다음 주기까지 유지되며 긴급 콜업/샌드다운으로 내려간 선수는 다음 주기까지 콜업될 수 없다. 또한 LCK와 LCK CL 간 통합 로스터 운영으로 감독 최대 2명, 코치 최대 7명, 선수 최대 20명으로 운영된다.


롤드컵 선발전 최종전에만 진출하면 롤드컵 진출은 확정이므로 2021 챔피언십 포인트 합계 순위가 2위만 되어도, 3번 시드냐 혹은 4번 시드냐의 차이점만 있을 뿐 일단 롤드컵 진출 자체는 확정되는 셈이다.







하지만 플레이오프에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하는 것을 반대하는 의견이 현재는 훨씬 많다. 기회가 또 주어진다면 한 번 형편없는 경기력을 보여줘도 우승할 수 있는 등 플레이오프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LEC 플레이오프와 비슷한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했던 2020 도쿄 올림픽 야구도 진행 방식에 대한 비판이 엄청나게 많았다.


4.1. 변경 사항[편집]


파일:2021 lck 서머 규정.png




4.2. 스프링 대비 로스터 변경[편집]






5.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5.1. 경기 일정 조작 논란[편집]


파일:4e20bcf3332dbeed3d9eac3c06f9722f.png

분명 라이엇 코리아는 경기 일정이 랜덤이라고 말했지만 5월 31일 일정이 공개된 이후 스프링과 일정을 비교해 보니 담원 기아, 한화생명, T1은 대진표 위치가 아예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특히 T1은 2020 스프링부터 2021 서머까지 4시즌 연속으로 전부 개막전 첫날에 경기가 있었다.[11] 최근 MSI가 일정 관련으로 논란이 많았는데 또 다시 일정 관련으로 논란이 생겼다.

팬들의 반응은 인기 팀인 T1, 담원, 한화생명의 대진표 위치를 고정시켜서 시청자를 확보하려고 한 게 아니냐는[12] 반응과 흥행을 확보하려는 건 이해하는데 왜 굳이 랜덤이라고 거짓말을 하냐는 반응이 있다.

여담으로 한 팀이 4회 연속으로 개막일에 경기를 치를 확률은 2.56%[13]이고, 이번 사례처럼 3팀이 전 시즌과 같은 대진표를 배정받을 확률은 0.1388%[14]이다.[15]

논란이 지속되자 라이엇 코리아는 기사를 통해 해명을 했다. # 해명에 따르면, 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정하게 추첨을 진행했는데 정말로 순전히 우연이었다고 한다.[16] 게다가 경기 일정이 논란이라면, 각 팀에서 항의와 불만이 튀어나올 법도 하지만, 10팀 모두 경기 일정 관련해서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는, 정말 순전히 우연일 가능성이 높다.

물론 우연을 떠나 LCK 팀들이 경기 일정과 관련해서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것은 MSI 일정 논란때 만큼 경기 시간을 바꿔가며 선수들이 피로 관련 누적으로 피해 보는게 이번 논란과는 크게 문제가 없기도 하다. 그래서 딱히 반응이 없는 편.


5.2. SNL 방송 사고 및 조작 논란[편집]


한두 번도 아니고 리그 오브 레전드를 잘 모르는 사람이 작가를 맡아서 그런지 방송 사고가 잦은 편이다.

공식 방송에서 '헤으응'이라는 표현을 대본에 적고 시켜서 논란이 된 적이 있었고, 자막에다가 을 몰라서 '닝'을 '님'의 명언이라고 적거나 룰러가 성승헌 캐스터에게 적은 말을 이정현 아나운서에게 적었다고 자막에 써서 룰러가 악마의 편집이라며 직접 해명하기도 했다. # 작가는 룰러가 칸을 겹쳐써서 헷갈리게 써서 잘못 표기했다고 해명했다. 중론은 애초에 설문지를 세 명 뽑게 했으면서 이유는 한 칸에 적게 되어 있었던 문제가 있고 작가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중앙에 써있는 이유를 가지고 이정현 아나운서로 오해한 것으로 작가의 실수가 맞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

데프트가 적은 "나진 프레이가 잘해서"라는 것도 데프트가 직접 해명하기도 했었다. 팬들의 반응도 2018 롤드컵 MVP인 닝과 나진 블랙 소드도 모르는 작가가 심각한 거 아니냐며 롤알못이라는 반응과 또 라이엇 코리아가 라이엇 코리아했다는 반응이다. # 다만 이 부분은 한화생명 측에서 데프트의 삼성 관련 답변을 다른 누군가가 대신 적어냈다고 밝혀서 라이엇 코리아도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 즉 데프트는 나진 관련 글만 썼지만 방송에 나가지 않았고 삼성 관련 글은 다른 사람이 쓴 것으로 이것만 라이엇 코리아가 내보냈다 보니 주작처럼 된 것이다. 라이엇 코리아가 나진을 몰라서 바꿔 쓴 것이 아니라는 것으로 일단 이 부분은 데프트와 라이엇 코리아 양 측 모두 잘못이 없는 것으로 종결되었다.

그와 별개로 작년에는 와디드에게 피해가 갔었는데, 작가가 선수들을 비하하는 디시인사이드의 밈을 생각 없이 쓰면서 맵도날드 밈을 LCK 공식 방송에서 와디드에게 준 대본에서 써줘서 말했는데 스멥 본인은 그다지 안 좋아하는 밈이기도 해서 스멥 팬들은 와디드에게 불만을 표했었는데 와디드는 사과 후 이게 안 좋은 밈인 줄 몰랐다고 해명했다. 그저 작가가 써준 대본에 있었다고 한다. #


5.3. All-Pro Team 투표 시스템 논란[편집]


All-Pro Team 투표 결과 중 몇몇 선수의 라인이 잘못 뽑힌 채 투표가 되어 미드인 쵸비가 탑솔러로 쵸비가 투표되거나 정글러인 크로코가 탑으로 투표되거나 탑솔러 서밋이 서포터로 투표가 되는 결과가 나왔는데 이를 두고 논란이 되는 중이다.

포지션이 잘못 투표가 된 선수는 All-Pro Team 결과엔 원래 자신의 포지션 점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에포트 선수가 1점 차이로 2nd 팀을 놓쳤기 때문에 가장 크게 피해를 본 편이다. 서밋의 포지션이 서폿으로 투표가 되어버렸는데 서밋이 서포터로 뽑힌 자리에 원래는 에포트가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1 #2

투표권자의 실수, 주최측인 라이엇 코리아의 불친절한 투표 제공 및 안일한 검수로 인해 애꿎은 피해자가 생겨버렸고, 이 부분에 대해선 개선할 여지가 있어 보인다.

이후 쵸비를 세컨드로 뽑은 김대호[17] 감독은 이후 발언에서 실수가 아니라 '쵸비가 탑을 간다면 제일 잘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진지 픽임을 입증했다. 하지만 이 발언 자체도 논란이 되었다. 왜냐하면 이번 서머 시즌 쵸비는 탑 라인을 간적도 없는데 단지 탑을 가면 잘할 것이라는 이유로 세컨드 탑으로 뽑았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시즌 동안의 활약상'을 평가하는 올프로의 취지에 완전히 어긋나는 투표였다.

이후 씨맥은 탑 라이너 명단에 미드 라이너인 쵸비가 있길래 투표했다고 해명했다. 그 명단을 보고 쵸비가 이번 서머 시즌 탑으로 라인 스왑 한줄 알고 투표했다고 한다. 씨맥은 경기를 안 챙겨보고 탑으로 스왑을 한적 없는 쵸비를 투표 한건 본인의 잘못이라고 해명했다.



5.4. 결승전 하이라이트 영상 논란[편집]


담원 기아가 우승한 LCK 결승전 4세트 하이라이트[18]에서 영상의 반을 날려버리고 그마저도 1분동안 멈춰있는 오류가 있는 상태로 방치해 논란이 되었다. 실제로 다른 영상과 비교했을 때 경기 시간에 비해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짧으며, 게임이 넘어가는 중요한 장면들을 전부 짤라놔 편파적인 하이라이트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선 LCK 공식 유튜브에서는 '알 수 없는 이유로 영상이 정상적으로 재생되지 않아 원인 파악 중이다' 라고 밝혔으며 오류가 맞는지, 어떤 오류인지에 대한 LCK의 정확한 추가 해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4세트 하이라이트만 재업로드를 진행했으나# 재업한 영상에서도 음성 싱크가 밀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 새로운 기록인 쇼메이커의 최단기간 1000킬 축하 배너도 포함되어있지 않으며, 전체 하이라이트에서는 T1이 이긴 3세트에서도 칸나의 케넨이 레넥톤과 다이애나의 탑 다이브를 받아내고 더블 킬을 따내 게임을 터뜨리는 중요한 장면도 스킵되었고, 4세트 후반부 라이즈의 궁극기 시전 장면은 앞부분이 어색하게 잘려 있다. 오류는 어쩔 수 없다 쳐도 다른 부족한 점이 매우 많았다는 것. 리그 결승전에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불쾌감을 표하는 팬들이 많으며, 라이엇 코리아가 일을 얼마나 못 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9월 3일 확인한 결과 여전히 LCK 유튜브 채널은 해당 하이라이트를 수정하지 않았다.# 반면 네이버 하이라이트W는 영상이 모두 정상인걸로 확인 되어 동영상 소스 문제가 아닌 LCK 유튜브 편집팀의 실수 혹은 의도로 보인다.


5.5. 부실한 결승전 운영 논란[편집]


이번 결승전 역시 OGN 시절과 비교하면 라코의 결승전 진행 능력은 여전히 초라하다고 볼수 있었다.

컨텐츠라고 할것도 없고 결승전을 4시 20분에 일찍 시작해서 보여준것도 유튜브에서 이미 공개한 파이널 단톡의 재탕이었고 나머지 20분도 팬들의 일러스트 공개가 끝이었다.




위 영상의 포즈에 관하여 빛돌이 개인방송에서 밝히길 선수들이 자발적으로 한것이다. 그러나 저 포즈가 문제라기 보다는 무대 연출이 욕을 먹는것이다. 5년전 결승 영상에서 락스 선수들의 V자 포즈를[19] 두번째 영상에서 담원 선수들이 따라한 것이다. 결국 둘다 같은 포즈를 했는데 라이엇 코리아의 무대 구성이 구려서 욕을 먹는 것이다.

그리고 결승 장소를 롤파크가 아닌 쇼미더머니의 촬영지로 유명한 CJ ENM 스튜디오로 잡았으면서 결승 장소로서의 이점을 활용하지 못했다는 평 또한 있었다.

하지만 여기엔 라이엇 코리아 나름의 사정이 있다. 코로나로 인해 무관중으로 진행해야 되는 특성상 사전 공연 같은 큰 행사를 하기 어렵다. 얼마전 LCS에서 무관중이지만 팬타킬 공연을 한적이 있는데 관중 호응이 없다 보니 하는 사람도 보는 사람도 힘들었다는 평이 있었다. 이러다 보니 어설프게 큰 스케일로 하는것보단 담백하게 무대를 준비 했다는 추측이 있다. 그리고 결승전 CG자체는 퀄리티가 괜찮았고 LCK 스토리를 쭉 보여주는 오프닝 또한 좋게 보는 팬들이 있다.

과거 OGN이 보여줬던 양이나 질적으로 좋았던 결승전 진행을 기대하던 팬들에겐 불만이 있지만 코시국에 관중도 없이 정도면 나쁘지 않았다고 평하는 팬들도 있어 여러므로 호불호가 갈린 결승전 진행이였다.

그러나 애초에 결론적으로 라코는 코시국도 아닌 19 서머때 결승 공연인 DJ 소나로 시원하게 망한적도 있어서 OGN과 라코의 역량 차이라고 보는 평가도 있다.

6. 영상 및 삽입곡[편집]




7. 주요 기록[편집]



7.1. Player of the Split[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Player of the Split
파일:2021_LCK_Summer_Player_of_the_Split_Gori.jpg
2021 Spring
파일:DWG KIA 엠블럼.svg
ShowMaker

파일:DRX 로고(2020~2022).svg
Pyosik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Chovy
2021 Summ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Gori
2022 Spring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누적 점수
1김태우Gori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MID.png1100
2김건부Canyon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JGL.png1000[20]
3이상혁Faker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MID.png900
3정지훈Chovy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MID.png900
3김태훈Lava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MID.png900
3김기인Kiin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TOP.png900
[ 5위권 미만 선수 보기 ]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누적 점수
7김동하Khan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TOP.png800
7박우태Summit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TOP.png800
9곽보성Bdd파일:Gen.G 로고.svg파일:LCK_MID.png700
9서대길deokdam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BOT.png700
9최현준Doran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TOP.png700
9김재연Dove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MID.png700
9이상호Effort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SUP.png700
9허수ShowMaker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MID.png700[1]
15이진혁Dread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JGL.png600
15한왕호Peanut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JGL.png600
17강선구Blank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JGL.png500
17김창동Canna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TOP.png500
17김태민Clid파일:Gen.G 로고.svg파일:LCK_JGL.png500
17김동범Croco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JGL.png500
17송용준Fly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MID.png500
17김광희Rascal파일:Gen.G 로고.svg파일:LCK_TOP.png500
17박재혁Ruler파일:Gen.G 로고.svg파일:LCK_BOT.png500
24김혁규Deft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BOT.png400
24유수혁FATE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MID.png400
24윤용호Hoya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TOP.png400
24황성훈Kingen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TOP.png400
24한겨레Leo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BOT.png400
24엄성현UmTi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JGL.png400
30박진성Teddy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BOT.png300
30이재원Rich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TOP.png300
30김정민Life파일:Gen.G 로고.svg파일:LCK_SUP.png300
30문현준Oner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JGL.png300
34김근성Malrang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JGL.png200[2]
34문우찬Cuzz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JGL.png200
34홍창현Pyosik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JGL.png200
34이채환Prince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BOT.png200
34노태윤Burdol파일:Gen.G 로고.svg파일:LCK_TOP.png200
34이민형Gumayusi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BOT.png200
40손민우Becca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SUP.png100
40오현택Noah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BOT.png100
40손시우Lehends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SUP.png100
40박미르Arthur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JGL.png100
40오효성Vsta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SUP.png100
40유환중Delight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SUP.png100
40박증환Hena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BOT.png100
40조건희BeryL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SUP.png100
40윤세준Jun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SUP.png100
40김요한yoHan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JGL.png100
40류민석Keria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SUP.png100
40배호영Jett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MID.png100
40이찬주Yaharong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MID.png100
40김정현Willer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JGL.png100
40장용준Ghost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BOT.png100
40손우현Ucal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MID.png100

[1] 미드로 출전해 바텀 포지션을 플레이해 얻은 200점 포함[2] 바텀 라이너로 출전해 정글 포지션을 플레이해 얻은 200점 포함


7.2. All-LCK Team[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SUMMER ALL-LCK 1st TEAM
파일:All_LCK_1st.jp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Afreeca_Freecs.png
Kiin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Peanut
파일:DWG KIA 엠블럼.svg
ShowMak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deokdam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SUMMER ALL-LCK 2nd TEAM
파일:All_LCK_2nd.jp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DWG KIA 엠블럼.svg
Khan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파일:Gen.G 로고.svg
Bdd
파일:Gen.G 로고.svg
Rul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Kellin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SUMMER ALL-LCK 3rd TEAM
파일:All_LCK_3rd.jp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Summit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roco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Chovy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Prince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Effort


7.3. LCK Awards[편집]



7.3.1. 정규시즌 MVP[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Regular Season MVP
파일:Regular_Season_MVP_NS_Peanut.jpg
2021 Spring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2021 Summ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Peanut
2022 Spring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7.3.2. Rookie of The Year[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Rookie of The Year
파일:Rookie_of_the_Year_LSB_Croco.jpg
2020 Summer
파일:DAMWON.png
ShowMaker
[21]
2021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Croco
2022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VicLa


7.3.3. Best Coach[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Best Coach
파일:Best_Coach_DK_kkOma.jpg
2020 Summer
파일:DAMWON.png
Zefa
[22]
2021
파일:DWG KIA 엠블럼.svg
kkOma
2022
파일:Gen.G 로고 심플.svg
Score


7.4. 펜타킬[편집]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펜타킬
이름(ID)소속 팀포지션챔피언상대팀기록일경기
김태훈(Lava)파일:Fredit_BRION.png파일:LCK_MID.png
MID
파일:akali_portrait.png파일:Liiv SANDBOX 로고.svg2021.06.091경기 2세트[23]
정지훈(Chovy)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2021.07.0843경기 3세트


8. 총평 및 결산[편집]



8.1. 정규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1라운드 결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정규시즌 결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플레이오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플레이오프 결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관련 문서[편집]




10. 둘러보기[편집]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21 시즌
국제 대회
파일:Mid-Season_Invitational_2021.png파일:Worlds2021.png
2021 MSI2021 Worlds
지역 대회
파일:LPL_2020.png파일:LCK 로고.svg파일:LEC.png파일:LCS_text.png
스프링 서머 선발전스프링 서머 선발전스프링 서머스프링 서머
파일:PCS Square.png파일:400px-VCS_logo_2018.png파일:LJL_2020_logo.png파일:LCO로고.png
스프링 서머스프링 윈터스프링 서머스플릿 1 스플릿 2
파일:TCL_Small_Logo.png파일:CBLOL_2021.png파일:LLA 2020.png파일:LCL2020_logo.png
윈터 서머스플릿 1 스플릿 2오프닝 클로징스프링 서머
기타 국제 대회
파일:ecea2021.jpg
2021 ECE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플레이오프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플레이오프
문서의 r236
, 2.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0:50:07에 나무위키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규시즌은 8월 15일에 종료된다.[2] 1~5주차는 보건당국의 방역 지침에 따라 총 수용 가능 인원의 20%인 약 80명을 한도로 유관중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6주차부터 거리두기가 4단계가 되어 무관중으로 전환되었다. [3] 쿠로 말로는 간에 문제가 생겨서 입원했다고.[4] 다른 리그의 경우 1, 2군 간 자유롭게 콜업 및 샌드다운이 가능하나 LCK는 유일하게 한 라운드가 끝났을 때만 콜업/샌드 다운이 가능하다. 즉 1라운드 로스터를 확정지은 시점에서는 2라운드가 시작되기 전까지 콜업이나 샌드다운이 불가능하다.[5] 하나의 포지션에 단 한 명의 선수만 있는데 그 선수가 응급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등.[6] 마지막 오프라인 경기는 2020 LCK 서머 10주차 AF vs KT 경기이다. 또한 후술된 롤 파크 유관중 경기는 2019년 9월 11일 진행된 2020 LCK 스프링 승강전 최종전 JAG vs HLE 경기 이후 무려 637일 만에 유관중 경기가 재개된다.[7] 2015 서머 10팀 체제부터 지속돼온 팀들인 T1, KT, 젠지(삼성), DRX(롱주), 브리온(나진), 아프리카(아나키), 한화생명(타이거즈).[8] 일일 1천명 수준으로 늘었다.[9] 대체 선수는 1년 내 LCK AS(LCK 아카데미 시리즈)에 출전한 경험이 있는 선수여야하며, 해당 선수는 신규 선수 등록이 가능한 시점을 제외하고, LCK 리그 로스터에는 등록될 수 없다.[10] 출전한 모든 매치에서 3꽉을 한다 치더라도 정규시즌 총 18개 매치업 중 최소 10매치는 뛰어아 가능하고, 출전한 모든 매치에서 2:0 스코어가 나올 경우 최대 15매치를 뛰어야 한다.[11] 라이엇 코리아가 직접 제작한 2019 시즌부터 6번 중 5번을 개막전 첫날에 배정받았다.[12] 실제로 스프링 당시 T1, 담원, 한화생명은 정규시즌 최고 시청자 수 합산에서 1, 2, 4위를 차지했다. 물론 한화생명이 4위기는 하지만 그래도 3위인 DRX와 거의 차이가 없다. LEC 역시 인기 팀인 G2와 프나틱의 경기를 프라임 타임에 배치하고 있다.[13] [math((0.4)^4)][14] [math(\frac{7!}{10!})] (3628800개의 경우의 수 중 5040개) = 1/720.[15] 다만 이후 기사에 따르면, 담원 기아 같은 경우는 MSI 이후 자가격리 및 휴식 등의 일정을 맞추어 주기 위해 가장 늦게 경기를 하는 시드에 배정되었다는 언급을 하였다.[16] 참석이 힘든 팀은 녹화본을 공유했다고 한다.[17] 탑을 도란-쵸비-기인-리치-칸 순으로 뽑았다.[18] 현재는 비공개[19] 첫번째 영상 2분 3초[20] 미드 포지션을 플레이해 얻은 100점 포함[21] 2020년까지는 매 시즌 Young Player라는 이름으로 시상했지만, 2021년부터 연 1회 신인상 수여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22] 2020년까지는 매 시즌 시상했지만, 2021년부터 연 1회 시상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23] 2020 서머 이후 약 1년 만에 개막전 펜타킬이 나왔다. 2019 서머, 2020 서머에 이어 3년 연속 서머 시즌 개막일 펜타킬이다.

관련 문서